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에 등록된 정책뉴스, 카드, 한컷,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의 기사제목, 기사내용, 관련부처 등을 조회 합니다.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611&call_from=rsslink
한국 환경부는 국내 483개 정수장을 공동 검사하여 위생과 청결 상태를 확인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검사 팀은 지역 환경 기관, 수자원 당국, 외부 전문가 및 지자체로 구성됩니다. 검사는 6월 3일부터 6월 9일까지 진행되며, 모기 애벌레 예방 및 위생 개선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검사는 또한 모기 애벌레 모니터링 조치를 검토하고 시설 개선이 필요한지 확인할 것입니다. 이 기사는 한국 환경부가 음용수의 안전성과 청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전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뉴스입니다.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s announced plans to jointly inspect 483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s to verify their hygiene and cleanliness levels. Inspection teams will be composed of local environmental agencies, water resource authorities, external experts, and local governments. The inspection will take place from June 3 to June 9, with a focus on mosquito larvae prevention and hygiene improvements. The inspection will also review mosquito larvae monitoring measures and verify if facility upgrades are necessary. This article is a positive news that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s taking pre-emptive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and cleanliness of drinking water.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608&call_from=rssli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2023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대한 수요기업 최종 선정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지원사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 저변을 확대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창출로 기업 성장 기회를 제공하여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최종 선정결과에서는 지역 기업이 40.5%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청년 기업은 전체 지원규모 중 44%를 차지하였습니다. 또한, 제조 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소상공인의 수도 크게 증가하는 등 지역별 차이도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평균 경쟁률은 3.7:1로 선정이 굉장히 경쟁적이었습니다. 이번 선정된 주요 과제들은 국민의 건강과 실생활에 밀접한 분야의 혁신서비스로 기대됩니다. 이는 매우 긍정적인 내용으로,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이 기업 성장을 촉진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이 사업이 발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의 가능성을 더욱 확대시키기를 바랍니다.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cently announced the final selection results for the 2023 Data Voucher Support Program for demand-driven businesses. The purpose of this support program is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data in various fields, provide business growth opportuniti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data,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data industry ecosystem. In this final selection result, local companies accounted for 40.5% of the total, and youth companies accounted for 44% of the total support amount. Additionally, the manufacturing sector had the highest proportion, and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verall, with an average competition rate of 3.7:1, selection was highly competitive. The selected major projec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novation services in areas closely related to people's health and daily lives. This is a very positive development, showing that the Data Voucher Support Program is progressing in a desirable direction that promotes business growth. We hope that this program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expand the possibilities of data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604&call_from=rsslink
한국 정부는 미래에 대비하여 농업자원 안정화와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27년까지 밀, 콩, 옥수수, 오일팜, 카사바 등 5가지 품목의 600만톤을 해외에서 확보할 것이다. 이는 국내 주요 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것으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농업분야에서의 해외 진출을 육성하고 농업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추진하여 5개 전략 품목을 다루는 기업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국내 수요처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 농산물의 유통 및 가공 분야로 진출한 기업들은 국내 식품 및 사료 업체와 연계하여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노력은 국내의 농산물 산업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국내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제 식량 위기 등의 비상시에 대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제농업협력사업(ODA)과 해외농업자원개발을 연계하면서 진출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국내농산업 분야는 안정적인 식량 안보와 경쟁력 강화를 이루어 내며, 국제적인 시장에서도 더욱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a plan to strengthen agricultural resource stabilization and food security in anticipation of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plan, the government will secure 6 million tons of five major crops, including wheat, beans, corn, oil palm, and cassava, from overseas by 2027. This is aimed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major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nd prepare for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government will focus on promoting overseas expans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securing agricultural resources stably. To this end, the government will launch a support program for agricultural and food industry overseas expansion, prioritizing companies that deal with five strategic crops and supporting them to secure domestic demand. In addition, companies that have entered the distribution and processing sectors of overseas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 connected with domestic food and feed companies to secure stable demand.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omestic agricultural industry,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griculture, and play a considerable role in preparing for international food crises and emergencies. Therefore, the government plans to support the stable settlement of companies by linking them with inter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s (ODA) and overseas agri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these efforts, the domestic agricultural industry is expected to achieve stable food security and enhance competitiveness and to be more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605&call_from=rsslink
한국 기후기술허브(K-허브)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한국 정부가 공동으로 설립하는 기후기술허브로, 내년 서울에서 개설될 예정입니다. 이 허브는 전 세계의 공공 및 민간 기후 전문가를 선택하고 연결하여 기후분야 네트워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계획입니다. ADB와 한국정부가 공동으로 인력을 파견하여 운영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아시아 역내국에 기후분야 지식전수 및 역량강화를 지원하고 ADB의 기후분야 역량강화를 돕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K-허브와 기술적 지원 등 다른 협력 사항들로 인해 한국 정부와 ADB 간의 협력도 한 단계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는 긍정적인 기사로 해석됩니다.
The Korea Climate Technology Center and Network (K-CETN) is a climate technology hub jointly established by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and the Korean government, which is scheduled to open in Seoul next year. The hub aims to serve as a center for climate networking by selecting and connecting public and private climate experts from around the world. It will be staffed by ADB and Korean government personnel, and is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in supporting climate knowledge transfer and capacity building in Asian countries and enhancing ADB's climate capabilit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ADB is expected to advance to a new level through the K-CETN and other collaborative efforts, making this a positive article.
원본 데이터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2023년 05월 07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5.06 |
---|---|
2023년 05월 05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5.05 |
2023년 04월 28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4.28 |
2023년 04월 27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4.28 |
2023년 04월 26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