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년 04월 26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정책브리핑

by 푸른코코아 2023. 4. 26. 23:52

본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에 등록된 정책뉴스, 카드, 한컷,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의 기사제목, 기사내용, 관련부처 등을 조회 합니다.

직무급 도입 공공기관 35→55곳…내년 100곳으로 확대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286&call_from=rsslink

한국의 공공기관에서 직무급 도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기획재정부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2022년도를 대상으로 한 직무중심 보수체계 도입현황을 점검한 결과,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이 직무급 도입을 위한 사전절차를 이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즉,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직무급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부 도입기관들은 보수 중 직무급이 차지하는 비중 및 직무 난이도 차이에 따른 보수의 차등수준이 미흡해 직무급 고도화를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앞으로 보완되어야 할 과제로 제기됩니다. 이번 점검결과는 공공기관 경영평가단에 전달되어, 2022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에 반영될 예정입니다. 또한 기재부는 맞춤형 지원과 현장소통을 통해 2027년까지 200개 이상의 공공기관이 직무급을 도입하도록 유도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공공기관 경영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긍정적인 발전으로 평가됩니다.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nounc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job grade system is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n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check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a job-oriented compensation system targeting 2022, it was confirmed that most public institutions are going through the necessary procedures for the introduction of job grades. This means that a lot of effort has been made to introduce job grades without going through these processes. However, some institutions were evaluated as needing additional efforts for job grade enhancement due to insufficient differentiation in compensation levels based on the proportion of job grades and the difference in job difficulty. These problems are identified as task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The check results will be delivered to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team and reflected in the 2022 public institution performance evaluation. Additionall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plans to encourage more than 200 public institutions to introduce job grades by 2027 through tailored support and on-site communication. This plan is evaluated as a positive development for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서울대 등 21개교, 수능 전형에 학폭 이력 반영한다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287&call_from=rsslink

대한민국 대학교육협의회가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계획에서는 총 347,934명의 학생들을 모집하며, 수시모집 비중이 79.6%로 가장 높았습니다. 수시모집 비중의 증가는 사회 통합을 위한 조치입니다. 학폭 조치사항을 대입전형에 자율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며, 일부 대학에서 이미 시행중인 학폭 조치가 대입전형에서도 적용됩니다. 이러한 조치로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경험을 더욱 명확히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이번 계획에서는 자연, 공학, 의학계열 모집단위 지원이 가능한 대학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학교육의 선진화와 미래사회를 위한 적정인력 양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의 목표는 학문적 경험과 실무 능력, 리더십 등을 토대로 학생들을 더욱 능동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이번 계획에서는 기회균형, 지역균형 등 사회통합전형 모집인원의 증가도 고려하였습니다. 대학입학은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마케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입고사 성적만으로 역량을 측정하는 것은 부족합니다. 이제는 학생들이 가족, 친구, 지역사회, 동아리, 협동조합 등을 통해 누적한 역량과 경험을 전문 영역으로 활용하는 것이 절실해졌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번 계획에서는 대학입학전형 간소화 원칙 준수와 일반전형과 특별전형의 지원자격도 권장함으로써 간략한 절차와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계획은 긍정적인 결과와 장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has announced their plans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for the academic year 2025. The plan includes recruiting a total of 347,934 students, with the proportion of early admissions being the highest at 79.6%. The increase in early admissions is aimed at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The plan also includes the incorporation of measures to combat campus violence in the admission process, which some universities have already implemented. These measures enable students to express their abilities and experiences more clearly. Furthermore, the plan has expanded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support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This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human resources for the future society. The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into proactive members of society based on academic experience, practical skills, leadership, and more. The plan also takes into account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and regions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College admission is not only about marketing one's abilities, but it is also about measuring them accurately beyond just test scores. It is now important for students to utilize their accumulated abilities and experiences through family, friends, local communities, clubs, and cooperatives in their respective fields. Overall, this plan complies with the principle of simplify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process and encourages equal opportunities through both general and special admission qualifications. Therefore, this plan can be seen as having positive results and advantages.

 

부산·경기에 5대 폭력 ‘통합솔루션지원단’ 첫 설치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289&call_from=rsslink

한국 여성가족부는 국정과제인 "5대 폭력 피해자 보호 및 지원 강화"의 일환으로 권력형성범죄, 디지털성범죄, 가정폭력, 교제폭력, 스토킹범죄 등 5대 폭력 복합피해자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시범사업을 다음 달 중순에 부산 및 경기 지역에서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번 시범프로젝트에서는 여성가족부가 "통합솔루션지원단"을 일련의 프로그램과 함께 런칭할 예정입니다. 이 솔루션은 여성폭력 피해 통합사례관리 역량을 갖춘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경찰청, 범죄피해자지원센터, 사회복지시설 등과 함께 협업하여 피해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판단하고 맞춤형 통합 해결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5대 폭력 피해자 복합 피해자들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피해자들이 안전하게 사회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시범 사업의 성공에 대한 기대는 높습니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사회 전반에서 범죄 피해자에 대한 빈틈없는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안전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들고,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보호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뉴스는 매우 긍정적인 발전으로, 국민들이 이를 감사하게 여기며 기대하고 있습니다.

As part of the national task of strengthening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5 major types of violence victims, including power-based crimes, digital crimes, domestic violence, dating violence, and stalking,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Korea will launch a pilot project in mid-July in the Busan and Gyeonggi areas to address blind spots for complex victims. In this pilot project, the Ministry will also launch a "Integrated Solution Support Team" with a series of programs to provide customized integrated resolution services by deploying dedicated personnel with integrated case management capabilities for women's violence victims, working with the police, victim support center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more to determine the services needed by victims. Through this, it seeks to alleviate the blind spots of the 5 major types of violence complex victims and help them to re-enter society safely. Expectations are high for the success of this pilot project. If this project is successful, it will be expanded nationwide, enabling comprehensive support for crime victims in society.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safe and healthy society and protecting individual freedoms and rights. This news represents a very positive development, and the people eagerly anticipate and appreciate this progress.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 일반 국도까지 지원한다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4276&call_from=rsslink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고속국도와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을 지원하기 위한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하여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고정밀 내비게이션과 ADAS(Systems)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완성된 정밀도로지도를 통해 정부는 올해에 계획하고 있는 특별광역시도·지방도를 대상으로 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우리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The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on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ll create precision maps to support autonomous driving, specifically for highways and general roads, which will be provided free of charge. These precision maps can be utilized for various fields including autonomous driving, high-precision navigation, and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The government plans to use the completed precision maps to make efforts towards creating similar maps for special metropolitan and local roads planned for this year, getting closer to achieving the goal of full autonomous driving.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us.

 

원본 데이터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관련글 더보기